생활밀착
해외여행 비상!! "이것 만은 알고 떠나자!!"
1py창업 보정남녀
2025. 6. 24. 04:14
728x90
반응형
2025년 3분기 중점·검역관리지역 지정 발표 |
-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·페스트 등 예방하기 위해 중국, 미국, 베트남 일부 지역 포함 중점검역관리지역 총 20개국 지정 - 중점검역관리지역 체류·경유자는 Q-CODE(또는 건강상태질문서) 제출 필요 |
보도자료 정리해 읽어주는 1평창업 보정남녀입니다.
여름휴가를 맞아 많은 분들이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계실텔데요, 그 계획 안에 해외감염병 예방도 들어 있나요?
주저하지 마시고 이번 포스팅 넣어 두세요. 개인의 건강 뿐 아니라 국민건강을 위해서라도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.
● 요약 정리
- 질병관리청은 작년 해외감염병 발생 상황을 반영. 2025년 3분기 중점검역관리지역과 검역관리지역을 지정
- 시행: 7월 1일 자부터
※ 중점검역관리지역 검역관리지역 중 유행하거나 유행할 우려가 있는 검역감염병이 치명적이고 감염력이 높아 집중적인 검역이 필요한 지역 「검역법」 제5조에 따라 검역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지역 (2024년 9월 1일부터 「감염병예방법」의 제1급 감염병 중심으로 지정) ※ ※ 검역관리지역 검역감염병이 유행하거나 유행할 우려가 있어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서「검역법」 제5조에 따라 검역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지역 |
- 중점검역관리지역은 총 3종의 검역감염병 대상 20개국 지정
- 중점검역관리지역 체류·경유 경우 Q-CODE(또는 건강상태질문서)를 통해 입국 시 검역관에게 건강 상태를 신고
*참고 : 미국, 중국, 베트남의 경우 국가 단위가 아닌 지역 단위로 지정
- 검역관리지역은 총 15종의 검역감염병 대상 182개국 지정
※ 2025년 3분기 중점검역관리지역 및 검역관리지역은 Q-CODE 누리집 http:/qcode.kdca.go.kr 공지사항에서 확인
< 2025년 3분기 중점·검역관리지역 변경>
중점검역관리지역 | |||
구분 | ‘25년 2분기(18개국) | ▶ | ‘25년 3분기(20개국) |
페스트 | <국가(3개국)> 마다가스카르, 콩고민주공화국, 중국(내몽골자치구) |
<국가(3개국)> 마다가스카르, 콩고민주공화국, 중국(내몽골자치구) |
|
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|
<국가(3개국)> 미국 (미네소타주, 미시간주, 워싱턴주, 캘리포니아주, 콜로라도주, 펜실베니아주), 중국 (광둥성, 광시좡족자치구, 구이저우성, 쓰촨성, 충칭시, 후난성, 후베이성), 캄보디아 |
<국가(5개국)> 미국 (미네소타주, 워싱턴주, 캘리포니아주, 콜로라도주, 펜실베니아주), 중국 (광둥성, 광시좡족자치구, 구이저우성, 쓰촨성, 충칭시, 후난성, 후베이성), 베트남* (남동부* 권역, 메콩삼각주** 권역), * 호찌민, 바리아붕따우, 빈즈엉, 빈프억, 동나이, 따이닌 ** 껀터, 박리에우, 까마우, 안장, 롱안, 동탑, 띠엔장, 하우장, 끼엔장, 속짱, 벤째, 빈롱, 짜빈 캄보디아, 방글라데시 |
|
중동호흡기증후군 (MERS) |
<국가(13개국)> 레바논, 바레인, 사우디아라비아, 시리아, 아랍에미레이트, 예멘, 오만, 요르단, 이라크, 이란, 이스라엘, 카타르, 쿠웨이트 |
<국가(13개국)> 좌 동 |
|
검역관리지역 | |||
구분 | ‘25년 2분기(167개국) | ▶ | ‘25년 3분기(182개국) |
- 질병관리청은 해외여행 전 여행건강오피셜(http://travelhealth.kr)에서 검역정보와 해외감염병 정보를 사전에 확인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, 입국시 발열 등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검역관에게 신고하고, 국립검역소에서 여행자 호흡기 감염병 검사를 받은 후 귀가할 것을 당부했습니다.
728x90
반응형